여행이란 익숙함을 벗어나서 좀 멀리 떠나는 것이 제 맛이다. 하지만 가까운 곳에도 갈 곳이 지천으로 있다면 다시 생각해 볼 일이다.

더구나 같은 곳이라도 언제 가느냐에 따라 풍경이 달라진다면 얼마나 자주 가든지 상관이 없을 터이다.

 

겨울 바다가 다르고, 여름 바다가 다르다. 봄 산이 다르고, 가을 산이 다르다. 

조그맣고 사소한 아름다움을 보는 눈이 있다면 그것은 '그리스인 조르바'의 눈. 그는 모든 것을 경탄의 눈으로 바라 본다.  그에게는 모든 것이 새롭다.

조르바는 정말 살 맛이 나는 삶을 산다.  '조르바'의 눈을 가지고 있다면 누구나 자신의 주위에도 새로움과 놀라움이 가득 차 있음을 알게 되리리.   

 

얼마전 동생말에서 잠깐 맛 본 바다 풍경을 다시 찾았다. 광안리 바닷가에 인접한 남천비치에서부터 시작하여 메트로 시티 유람선 선착장을 지나

이기대 입구 동생말을 거쳐 부산의 절경 이기대 갈맷길을 느린 걸음으로 유유히 걸어 본다. 

서둘 것도 없고, 바쁠 것도 없다. 끝까지 갈 것도 없고, 그냥 돌아 서고 싶은 곳에서 멈추면 된다.

따뜻한 봄 볕을 즐기며 오고 가는 사람들도 보고 봄 바다와 봄 숲도 보고 숨어 있는 들풀도 보고... 

 

지도의 왼쪽에 오륙도(16번)가 보인다. 이 오륙도를 기점으로 신선대 쪽이 남해, 이기대 쪽이 동해로 갈린다.

이기대 가장 동쪽 끝 오른쪽이 동생말(8번)이다. 한문으론 동산미(東山尾). 아마 이기대의 동쪽 끝이라는 뜻이리라.

 

동생말에서 시작하여 널찍한 광장이 있는 어울 마당(12번)을 거쳐 갈맷길(10번)이 순환도로(4번)와 만나는 곳까지 걸었다. 그리고 순환도로를 따라 다시 동생말까지.

이기대를 걷는 길은 여러 길이 있다. 먼저 갈맷길(10번길), 해안 순환 도로(4번길), 장자봉(7번)을 넘어 가는 길, 갈맷길도 더러는 해안길과 숲길로 나누어진다.

 

 

 

왼쪽으로는 바다,오른쪽으로는 장자산 기슭의 울창한 숲, 나무, 꽃...

 

 

 

 

이기대 갈맷길에서 점점 멀어지는 바다.

 

 

 

 

이기대 해안. 이기대는 제주도, 울릉도에 이어 내륙으로는 처음으로 국가 지질공원으로 등록되었다.

다양한 퇴적층 및 화성암들. 해식동굴, 돌개구멍등 다양한 해식지형 때문이다.

 

 

 

 

한 때는 이기대에 공룡발자국이 있다고 했었다. 그러나 그것은 해식작용으로 인한 돌개 구멍으로 밝혀졌다.

돌개구멍, 바위에 조금 움푹 들어간 곳의 모래와 자갈이 파도의 힘에 의해 수백년 수천년 아니 수만년을 맴돌면서 저런 원형의 구멍을 만들었다고 한다.

 

 

해안 길 위 쪽의 숲길에서

나무 사이로 보이는 바다의 풍경은 언제 봐도 질리지 않는다.

 

 

 

 

저 멀리 동백섬과 달맞이 고개 사이에 길게 늘여선 황금빛 해운대 백사장이 보인다.

 

 

산과 바다를 낀 천혜의 자연환경을 갖춘 부산, 이 가운데 살고 있는 나는 얼마나 행복한 사람일까?

주위를 먼저 보는 눈을 가진다면 누구나 더 행복해 지지 않을까?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기대 동산 백련사 가는 길  (0) 2015.05.15
비 내리는 신선대  (0) 2015.05.07
이기대 갈맷길 입구에서  (0) 2015.05.01
봄날 부산 대통령 별장을 산책  (0) 2015.03.28
해운대 달맞이 길 아래 동해 남부선  (0) 2015.03.18

그리스인 조르바    니코스 카잔차키스 / 이윤기 / 열린 책들

 

서점에 꽂혀 있는 <그리스인 조르바>를 보고 설레는 마음, <월든>을 보았을 때도 이 같은 약간의 흥분을 느꼈던 기억이 스쳐지나간다.

하지만 읽는 데 여러날이 걸렸다. 아껴서 읽는 탓은 아니다. 읽기가 힘들었다고나 할까? 무의식중에 카잔차키스의 표현에서 은유를 찾아내려한다. 표현 하나 하나에서 주인공의 심정이나 작가의 은밀한 생각을 읽어내려는 의식이 책을 읽어 나가기 힘들게 한다. 위대한 개츠비를 읽은 탓이려니 생각한다. 아무 생각없이 읽고 싶었다. 

 

<그리스인 조르바>는 두목과 조르바의 우정이야기, 서로 다르지만, 서로를 이해하고, 사랑하는 두 사람의 이야기이다. 두목은 물주이고, 조르바는 고용인이다. 두목은 30대, 조르바 60대? 아마 그럴 것이다. 두목은 삶의 의미를 찾기 위해 책으로 향한다. 동양의 종교에 심취해 있는 듯, 매일 불경을 읽으며 뭔가를 찾는다. 조르바는 삶에서 무엇을 찾으려 하지도 않는다. 다만 삶속에서 삶을 즐긴다. 관습도, 도덕도, 종교도 그를 막아 설 수가 없으리만큼 그는 자유롭게 살아간다. 그에게는 원시의 처녀림처럼 자유로운 영혼의 냄새가 난다. 두목은 조르바가 마음에 든다. 조르바는 두목이 가지고 있지 않는 그 무엇을 가지고 있다. 자유로운 영혼을... 조르바는 책속에서는 찾을 수 없는 진짜 생생한 삶을 살고 있는 삶의 화신인 것이다. 조르바의 삶, 조르바의 자유는 그저 모순 덩어리이다. 삶은 욕망이며, 자유는 욕망의 충족이며, 욕망의 상호 충족의 원칙만이 조르바를 구속할 뿐이다. 갈탄을 캐내려는 시도가 완전히 물거품으로 돌아가고 모든 것을 날려버렸을 때에도, 조르바는 춤을 춘다. 해변 모래사장에서, 두목도 함께 춤을 춘다. 그들을 막을 수 있는 건 없다. 실패도, 가난도 그들을 막을 수 없다. 삶은 계속되는 것이다. 자유란 그런 것이다.

 

<그리스인 조르바>에는 반 종교적인 색채가 진하게 풍긴다. 신을 부정하는 듯한 느낌들, 불신. 부패하고 타락해져 가는 종교를 향한 혐오감일까? 절대적 자유를 찾기위해종교에서 벗어나려는 몸부림일까? 신에 대한 완전한 부정일까? 아니면 신에게 던지는 질문일까? 카잔차키스는 <그리스인 조르바>를 통해 관습, 도덕, 종교에 기반을 둔 전통적인 삶의 모습을 허물어뜨리고, 자유로운 삶을 보여주려한다. 그는 두려워한다. 자유가 행복을 가져다 줄 것인지, 그는 확신할 수 없다.

 

<그 사람들이 눈을 떴을 때, 당신이 지금의 암흑 세계보다 더 나은 세계를 보여 줄 수 있다면.... 보여 줄 수 있어요?" 나는 알지 못했다. 나는 타파해야 할 것이 무엇인가는 잘 알고 있었다. 그러나 그 폐허에 무엇을 세워야 하는지, 그것을 나는 알지 못했다. ...낡은 세계는 확실하고 구체적이다. 우리는 그 세계를 살며 순간순간 그 세계와 싸운다.... 그 세계는 존재한다. 미래의 세계는 아직 오지 않았다. 환상적이고 유동적이며 꿈이 짜낸 빛의 천이다. 보랏빛 바람에 둘러 싸인 구름... 이땅의 아무리 위대한 선지자라도, 이제는 암호 이상의 예언을 들려 줄 수 없다. 암호가 모호할수록 선지자는 위대한 것이다.> 92쪽

 

자유란 달콤한 꿀처럼 유혹적인 마력을 가지고 있지만, 자유가 진정한 삶의 길이 될 수 있을 것인가? 아무도 모른다. 두목은 유보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목은자유를 갈망한다. 그래서 그는 자유의 삶을 사는 조르바를 좋아하는 지도 모른다. 

 

자유란 무엇인가? 자유란 선택할 수 있는 능력이 아닐까? 선택할 자유와 능력이 있다면 자유로운 것이라고 말하고 싶다. 스스로의 선택에 의해 틀안으로 들어간 사람은 비록 외면적으로는 자유롭지 않아 보이겠지만, 여전히 그는 자유인이다. 그러면 물고기가 물 속에서 자유로운 것처럼, 스스로가 처한 틀을 의식하지 못하면서 자유롭다고 느깐다면, 자유로운 걸까? 그것은 선택에 의해 자유를 획득한 것이 아닐텐데. 그것은 주어진 자유일텐데...물고기가 물을 의식하지 못하고 물에서 자유로운 것과, 물이라는 구속을 의식하면서도 그 가운데 자유로운 것중 어느 것이 더 큰 자유일까? 물고기가 물 밖 세상을 동경하여 물을 뛰쳐 나와 장렬히 죽음을 맞는다면, 그것은 그의 선택이므로 자유로웠던 것일까?

 

자유란 절대 선이 아니다. 자유란 상대적 선일지도 모른다. 자유란 상대적인 악일 수도 있다. 상대적이란 것은 필시 잣대가 요구되는데, 그러면 상대적 세계에서의 잣대란 어떤 의미를 지니는 것일까?  존 스튜어트 밀의 <자유론>이 생각난다. 자유를 한계지으려는 시도, 어차피 자유란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는 것일 뿐....

 

이 길을 내려 갈 것인가? 말 것인가?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