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비현실적인 꿈을 하나쯤은 가지고 있다. 그러한 꿈들 중 하나는 자기 이름으로된 책을 내는 것이다. 내게도 그러한 꿈이 있었다. 그걸 이루었다. 그건 이루어진 것이 아니었다. 이룬 것이다. 비록 스스로 자금을 대기는 했지만. 그러나 그것은 돈으로만 되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컨텐츠가 있어야 하니까. 

 

오랫동안 블로그에 글을 올렸다. 그러면서도 '이게 다 무슨 소용이람' 하고 생각하기도 했었다. 그러나 어떤 분이 말씀하시길 하나씩 공들여 쌓아놓은 것이 어느 순간 태산이 된다고 하셨다. 맞는 말이었다. 그 동안 써 놓았던 것들이 책을 내는 밑거름이 된 것이다. 물론 그 품질이 고품질이 아닐찌라도 한권으로 책을 낼 정도의 컨텐츠가 쌓였다는 것은 그만한 공이 들어간 것인셈이다. 

 

너무 수월하게 책을 내는 바람에 아쉬운 것도 많다. 교정을 제대로 보지 못한 것이나, 구성등에 조금 더 주의를 기울이지 못한 것등이 그것이다. 이제 한번의 경험이 쌓였으니 이를 참고하여 다음에는 보다 나은 책이 나올 수 있도록 해야겠다는 마음도 든다. 모쪼록 책을 발행하느라 투입하였던 비용정도는 빠지면 좋을텐데, 그러면 다음에 다시 또 한번 도전하기가 수월할텐데 하는 생각이 든다. 

 

<책으로 떠나는 여행-팬데믹 시대 방구석 책읽기 / 최병익>

https://digital.kyobobook.co.kr/digital/ebook/ebookDetail.ink?LINK=NVE&category=001&barcode=480D220418010

 

책을 읽고 블로그에 올렸던 감상문중 20편을 편집하였다. 다시 읽어 보니 마음에 드는 부분도 있지만 자유롭게 쓴 글이라 이해하기가 어려운 문장도 꽤 있는 것 같다. 어떤 것은 생각의 흐름이 복잡하게 꼬여 있는 것도 있다. 첫술에 배 부를 수는 없는 법. 아뭏든 기분은 좋다. 

'읽은 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3 <꽃핀 소녀들의 그늘에서>  (0) 2025.04.29
잃어버린 시절을 찾아서  (0) 2021.08.17
2021년 읽은 책  (0) 2021.03.11
읽은 책2  (0) 2019.08.07
그 이후 읽은 책  (0) 2019.05.08

잃어버린 시절을 찾아서 8 - 소돔과 고모라     김형석 역

 

자동차를 타고 알베르띤느를 데리러 가는 길 위에서 마르셀은 스떼르마리아 아씨를 좋아하던 시절, 그리고 다음에는 게르망뜨 대공 부인을 연모하던 시절, 그 시절에 그녀들을 보러 나섰던 길들을 생각하며 뭔가 깨달음을 얻게 된다.  
 
'그 길들이 나에게, 유령들만을, 그 실체의 상당 부분이 나의 상상 속에 있던 그 존재만을 뒤쫓는 것이 나의 운명임을 상기 시켜 주었다.' 
 
'재산이라든가 성공 및 높은 지위  등 타인에 의해 확인될 수 있고 확정된 가치를 가치를 가지고 있는 모든 것을 하찮게 여기는 -또한 그것이 젊은 시절부터 나의 경우였다- 사람들이 실제로 있으며, 그들에게 실제로 필요한 것은 유령들이다.'
<잃어버린 시절을 찾아서 8 -소돔과 고모라> 
 
프루스트는 스떼르마리아나 게르망뜨 부인을 좋아했다기 보다는, 자신의 마음 속에 그녀들의 이상적인 모습을 스스로 창조해 내었고, 그가 좋아한 것은 바로 그 마음 속의 그녀들이었다는 것을 깨닫는다.  
 
결국 프루스트의 인물 묘사는 객관적이라기 보다는 순전히 주관적이어서 때로는 자신의 정신 속에 형성된 그 실체가 그러하지 않다는 것이 드러나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결국 예술이란 객관성이라기 보다는 주관적인 거라서 그래서 아름다운지도 모른다. 
 
살면서 한 여인을 사랑한다는 것은 바로 그와 같을 것이다. 실체를 사랑한다기 보다는 허상을 사랑하는 것인데(마르셀은 그 허상을 유령이라 칭하였다), 그렇다고 해서, 즉 허상을 사랑한다고 해서 그것이 아무 의미가 없는 것은 아니고 그 나름대로 기여하는 바가 있으니, 그 결실이 바로 예술이 아닐까?

'읽은 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3 <꽃핀 소녀들의 그늘에서>  (0) 2025.04.29
책을 내다  (0) 2022.04.28
2021년 읽은 책  (0) 2021.03.11
읽은 책2  (0) 2019.08.07
그 이후 읽은 책  (0) 2019.05.08

한 마을에 100명의 사람이 각각 개를 한 마리씩 키우고 있다. 

그런데 어느날 한 예언자가 와서 마을을 둘러 보고는 병든 개가 있다고 말하였다. 그리고 그 병든 개를 주인이 자정에 쏴 죽이지 않으면 100일 후에는 재앙이 닥칠 것이라고 한다. 정상적인 개를 쏴 죽여서도 안된다. 그런데 자신의 개가 병들었는지 아닌지 본인은 알 수가 없다. 다만 마을 사람들은 모두 다른 사람의 개는 병들었는지는 알 수가 있다. 그러나 그것을 개 주인에게 말해 주어서는 안된다. 마을 사람들은 모두 AI 처럼 똑똑하다. 

첫째날 밤은 무사히 지나갔다. 둘째날도, 세째날도... 다섯째날 한 밤중에 몇번인지 알 수 없는 총성이 들렸다. 이 마을에서 병이 든 개는 몇 마리인가?

'퀴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적 퀴즈  (0) 2021.06.16
퀴즈  (0) 2021.06.16
[퀴즈]병을 가득 채우는 데 걸리는 시간은?  (2) 2014.09.18
[퀴즈]물 붓기  (0) 2014.09.11
[퀴즈]달팽이 우물 탈출하기  (0) 2014.09.11

5명의 해적(A,B,C,D,E)이 있습니다. 이 5명 각각 자신의 서열이 있으며 서열이 서로 같은 해적은 없습니다.

(편의상 A>B>C>D>E라고 해두죠.)

 

이 해적들이 어느날 금화 1000개가 든 상자를 얻게 되었습니다. 당연히 분배를 해야겠지요. 그런데 얘네들 분배법이 좀 특이합니다.

 

1. 남은 해적들 중 서열 1위가 분배법을 제시합니다.

2. 나머지 해적들이 찬반여부를 투표합니다.

3. 과반수가 반대일경우 분배법을 제시한 사람은 처형당합니다. = 죽습니다.

4. 찬성과 반대가 동일할 때는 찬성으로 결정합니다.

5. 분배를 제시한 해적도 찬반 표를 던질 수 있습니다. (설마 자신이 결정하고 반대하는 일은 없겠지요.)  

 

이 해적들은 무한히 현명하며, - 매우 신중하게 생각해서 자신이 안죽도록 해야겠지요

또 매우 극악무도하고 이기적입니다. 자신의 이익이 최대가 되도록 분배법을 제시하며 만일 자기가 금화를 더 많이 가질 수 있는 방법이 있다면 서열이 높더라도 죽이는것을 서슴지 않습니다.

 

그러면 A가 가질 수 있는 금화의 개수는?

'퀴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퀴즈..  (0) 2021.06.16
퀴즈  (0) 2021.06.16
[퀴즈]병을 가득 채우는 데 걸리는 시간은?  (2) 2014.09.18
[퀴즈]물 붓기  (0) 2014.09.11
[퀴즈]달팽이 우물 탈출하기  (0) 2014.09.11

   FORTY

+    TEN

+    TEN

= SIXTY

 

각 알파벳은 0~9까지의 숫자에 대응한다. 

각 알파벳은 어떤 숫자에 대응하는가?

'퀴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퀴즈..  (0) 2021.06.16
해적 퀴즈  (0) 2021.06.16
[퀴즈]병을 가득 채우는 데 걸리는 시간은?  (2) 2014.09.18
[퀴즈]물 붓기  (0) 2014.09.11
[퀴즈]달팽이 우물 탈출하기  (0) 2014.09.11

1 풀잎  /월트 휘트먼

2 천년의 잠  /오세영

3 전쟁과 평화 1-4  /톨스토이

4 안나카레니나  /톨스토이

5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   /도스토예프스키

6 글쓰기의 최전선  /은유

7 페스트 /알베르카뮈

8 수선화에게  /김호승

9 다시 책은 도끼다  /박웅현

10 지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

11 더블린 사람들  /제임스 조이스

12 젊은 예술가의 초상 /제임스 조이스

'읽은 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책을 내다  (0) 2022.04.28
잃어버린 시절을 찾아서  (0) 2021.08.17
읽은 책2  (0) 2019.08.07
그 이후 읽은 책  (0) 2019.05.08
어디서 살 것인가 / 우리가 살고 싶은 곳의 기준을 바꾸다  (0) 2019.05.08

1 징비록/이동환

2 숲 해설 시나리오/ 황경택

3 누우면 죽고 걸으면 산다1 / 김영길

4 미중전쟁1,2 / 김진명

5 역사속의 이순신, 역사 밖의 이순신/ 방성석

6 징비록(교양으로 읽는 고전2)

7 추사 김정희 / 유흥준

8 이야기 프랑스사 / 윤선자

9 문명이야기 1: 동양문명(1) 윌 듀런트

10 여자 혼자 떠나는 걷기 여행4 /김남희

11 철학이야기/ 윌 듀런트

12 투란도트 / 베르톨트 브레히트

13 모모/ 

14 부활

15 서른, 여행은 끝났다/ 박현용

16 성자가 된 청소부 / 바바 하리 다스

17 제주걷기여행 놀명 쉬멍 걸으명/ 서명숙

18 울며 들어온 너에게/ 김용택 시집


'읽은 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잃어버린 시절을 찾아서  (0) 2021.08.17
2021년 읽은 책  (0) 2021.03.11
그 이후 읽은 책  (0) 2019.05.08
어디서 살 것인가 / 우리가 살고 싶은 곳의 기준을 바꾸다  (0) 2019.05.08
대한민국 독서사  (0) 2018.12.23

2019년 5월 22일 


제주 서귀포시 가온제이게스트하우스를 나와 제주 올레길 7코스로 출발한다. 

올레길 자체가 유명관광지라면 모를까, 유명한 곳만 찾아다니는 사람들에게는 숨겨진 비경들. 어떻게 보면 평범한 풍경도 비경이 될 수 있다





1.예언자/ 칼릴 지브란

2.문학의 숲으로 떠나는 여행/ 한준희

3.자전거 여행1/ 김훈

4.사피엔스/ 유발 하라리

5.자전거 여행2/ 김훈

6.온도계의 철학/ 장하석

7.  1년 만에 기억력 천재가 된 남자/ 조슈아 포어

8.사흘만 볼 수 있다면/헬렌 켈러

9.정재승의 과학콘서트

10우리 수학자 모두는 약간 미친겁니다. / 폴 호프만

11신경림의 시인을 찾아서/ 신경림

12이반 데니소비치의 하루/ 솔제니친

13호모 데우스/ 유발 하라리

14해질 무렵/ 황석영

15심장병 바로 알기 / 키스 수터

16난중일기

17괭이부리말 아이들/김중미

18금각사/ 미시마 유키오

19천년의 금서/ 김진명

20싸드/ 김진명

21유튜브의 신/대도서관


 


'읽은 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년 읽은 책  (0) 2021.03.11
읽은 책2  (0) 2019.08.07
어디서 살 것인가 / 우리가 살고 싶은 곳의 기준을 바꾸다  (0) 2019.05.08
대한민국 독서사  (0) 2018.12.23
연암 박지원의 글 짓는 법  (0) 2018.12.1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