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드르디, 태평양의 끝/ 미셸 투르니에/ 김화영 옮김/ 민음사
<조르바를 춤추게 하는 글쓰기>에서 추천받은 책이다.
☞ 이윤기의 <조르바를 춤추게 하는 글쓰기> http://blog.daum.net/ccsj77/353
책을 읽다 보면 무슨 책을 읽을까하는 고민이 절로 해결되는 때가 있다.
책 속에 추천된 책, 그리고 책 속에 언급된 책들이 있기 때문이다.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이어지는 책의 행렬을 따라 가다 보면 어디로 가게 될까?
자기 꼬리를 물고 있는 뱀처럼 돌고 돌아 다시 제자리로 돌아오게 될까?
그 끝이 나올 때까지 모든 책을 읽는 것은 가능하지 않겠지만, 그 걸음의 방향은 아마도 인류의 이성이 빚어낸 고전들로 향하지 않을까?
시간의 파괴성을 견디어 낸 책들, 인간들의 지성의 향연이라할 그런 책들 말이다.
그러면 미셸 투르니에의 <방드르디, 태평양의 끝>는 어떤 책, 그리고 누구와 선이 닿아 있을까?
<방드르디, 태평양의 끝>은 대니엘 데포의 <로빈슨 크루소>의 복사판이다.
주인공의 이름은 로빈슨, 난파한 버어지니아호에서 혼자 살아남은 그는 무인도에 표류하게 된다.
무인도를 개척해 나가는 삶, 그리고 동반자의 등장. 딱 여기까지이다. <방드르디, 태평양의 끝>과 <로빈슨 크루소>가 닮은 것은.
대니엘 데포의 '로빈슨'은 동반자 '프라이데이'를 만난다.
'로빈슨'은 야생의 세계인 무인도를 개척하고, 프라이데이를 문명인으로 교화시킨다.
데포의 <로빈슨 크로소>은 야생을 이긴 문명에 대한 기록이다.
그러나 미셸 투르니에의 로빈슨은 다르다. 그는 야만인 '방드르디'를 만나 교화받는다.
'방드르디'를 만나기 전까지 쌓아놓았던 문명은 파괴되고, 그는 야생으로 돌아가게 된다.
투르니에의 로빈슨은 문명에 대한 야생의 승리의 증인이다.
<방드르디, 태평양의 끝>은 레비스트로스의 <야생의 사고>에 맞닿아 있기도 하다.
미셸 투르니에는 레비스트로스의 강의와 지도를 받았다고 한다.
레비스트로스는 유명한 인류학자로 <야생의 사고>,<슬픈 열대>와 같은 저서를 남긴, 구조주의의 창시자로 알려진 인물이다.
레비스트로스는 문명의 우월성을 자랑하는 서구의 지성들에게 야생 즉 반문명의 원시문화가 더 우월할 수도 있다고 일갈했다.
☞ 레비스트로스의 <야생의 사고>http://blog.daum.net/ccsj77/174
아마도 미셸 투르니에는 <방드르디, 태평양의 끝>에 이러한 야생의 우월성을 담고 싶었을 것이다.
문명이 야생보다 우월한 것이 무엇일까?
대량생산 대량소비의 문화는 야생을 갉아먹고 산다. 후손 대대로 살아야 할 자연을 파괴하고 자원을 고갈시킨다.
에른스트 슈마허는 <작은 것이 아름답다>는 책을 통해 거대경제의 위험성을 지적한 바 있다.
☞ 에른스트 슈마허의 <작은 것이 아름답다>http://blog.daum.net/ccsj77/287
로빈슨도 끊임없이 스페란차의 생산력을 고갈시켜가면서 곡물을 생산해 낸다.
혼자서 사는 삶임에도 불구하고 창고에 가득 생산물을 쌓아 놓고도 또 더 많은 생산을 위한 계획과 실행으로 바쁜 삶을 보낸다.
만일 세상 모든 사람들이 먹고 살 만큼만 생산하고 거기에 만족한다면 세상은 얼마나 달라질까?
하나 더 가지려면, 하나 더 만들든지, 아니면 하나를 더 뺏어야한다.
그러나 하나 더 만든다는 것은 장차 올 미래세대, 우리의 아들 딸에게 속한 것을 빼앗는 것과도 같다.
필요한 하나의 것만 가지고, 잉여의 것을 탐하지 않는 것이 야생의 사고이다.
아메리카 인디언들은 자신들이 먹을 만큼만 사냥한다고 한다.
더 많이 가지기 위해 더 많은 사냥을 하는 것은 자연의 균형을 깨뜨리게 되고,
결국에는 그 속에서 살아가는 자신들의 삶도 파괴될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문명의 붕괴를 막고 지속적인 문명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바로 이러한 야생의 사고일 것이다.
그렇게 본다면 미셸 투르니에의 <방드르디, 태평양의 끝>은 인류의 문명이 나아가야 할 길을 제시하는 것일런지도 모른다.
미셸 투르니에는 철학자로서 철학과 소설의 융합을 지향했다고 한다.
무인도에서 타자없이 살아가는 삶은 어떤 의미가 있을까?
우리에게 타자란 어떤 의미일까?
이러한 철학적 질문에 대한 철학적 생각거리도 던져주는 소설,
<방드르디, 태평양의 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