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 맹자> / 최인호 지음/ 열림원

 

동양의 정신을 지배해 온 거대한 강의 발원지는 유교의 시조 공자이다. 춘추전국시대의 수많은 제자백가의 사상중 하나에 불과했던 유가사상이 거대한 강줄기를 이루게 된 것은 백가쟁명에서 살아남았기 때문이다. 고사직전에 있던 유가를 우뚝 세운 공로자는 공자가 죽은 지 107년 후에 태어난 맹자. 맹자는 유가의 투사가 되어 다른 사상과의 수많은 논쟁에서 승리하고 유가사상을 체계화하여 중국의 중심사상으로 정립한다.

 

맹자는 기원전 372년 추나라에서 태어난다. 노나라에서 권력을 좌지우지하던 삼환씨중 하나인 맹손씨(중손씨)의 후손이다. 그는 편모슬하에서 가난한 어린 시절을 보낸다. 맹자의 어머니의 교육열은 대단하여 자식의 교육을 위해 세번이나 이사를 하였고, 짜고 있던 베를 단숨에 잘라버리고는 '공부를 중단하는 것은 다 짠 베를 잘라 버리는 것과 같다'라는 불호령으로 맹자에게 잊지 못할 교훈을 베푼다. 여기서 '맹모삼천', '맹모단기'라는 고사성어가 나오게 되었다. 맹자는 삼십대에 이미 유명한 스승이 되었고, 삼십팔세에 자신의 사상을 펼치려 제, 양, 진나라를 주유하며 23년의 세월을 보낸 후 예순살에 고향 추나라로 돌아와 제자들과 함께 책을 저술하고 학문에 정진한다. 그리고 기원전 289년 여든 세살의 나이로 숨을 거두게 된다. 

 

맹자가 살던 전국시대는 백가 쟁명의 시대였다. 당시 수백의 학파들이 있었고, 중심세력을 형성하고 있던 10대학파에는 유가외에 도가, 묵가, 법가, 음양가, 명가, 종횡가, 농가, 병가, 소설가, 잡가등이 있었다. 맹자는 이와 같이 많은 꽃들이 한꺼번에 피어나는 백화제방의 시대에 수많은 논쟁속에서 유학을 지켜내면서 유가의 이론을 체계화하고 심오한 사상을 다듬어 나갔다. 그래서 맹자를 일컬어 '논쟁하기를 좋아하는 사람'이라 하기도 하고, 유가의 검객, 검투사라고 부르기도 한다.

 

 

■ 맹자의 경세지략

 

맹자가 처음 찾아간 나라는 전국시대 최고의 변설가로 알려진 '순우곤'이 있던 제나라. 맹자는 제나라 위왕의 총애를 받고 있던 순우곤과의 설전에서 승리한다. 제나라 선왕을 만난 맹자는 '무항산무항심'의 경세책을 권한다. "일정한 소득이 없으면 일정한 마음도 없다" 맹자는 나라를 다스림에 있어서 무엇보다도 백성들의 경제 생활을 안정시키는 것이 중요함을 강조한다. 형이상학적인 도덕만을 부르짖는 것이 아니라 먼저 인간다운 삶을 살게하는 경제적 기반부터 다까야 함을 이야기함으로 현실주의의 면모도 보인다.

 

 

■ 맹자의 호연지기 

 

맹자의 제자 공손추가 "선생님께서 제나라 경상의 자리에 오르셔서 도를 행할 수 있게 되신다면 이로 말미암아 패업을 이루거나 왕업을 이룬다 하더라도 이상하지 않을 것입니다. 이와 같다면 마음이 동요되십니까, 동요되지 않으시겠습니까?"라고 질문하자, "나는 마흔살이 되었으니 마음이 동요되지 않는다."라고 대답한다. 공자는 나이 마흔을 '불혹'이라 했지만 맹자는 '부동심'이라고 했다. 공손추가 다시 "마음이 동요되지 않도록 하는 데 무슨 방법이 있습니까?"하자, "오직 한 가지 일에만 관심을 집중시키는 것"이 부동심을 얻는 유일한 방법이다고 대답한다. 이에 공손추가 "스승께서는 어디에 장점이 있으십니까?"라고 묻자 맹자 왈 "나는 호연지기를 잘 기르니라."라고 대답했다. 호연지기가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에 "호연지기는 지극히 크고 강한 것이니, 곧은 마음으로써 잘 기르고 해침이 없으면 하늘과 땅에 가득 차게 된다. 또한 호연지기는 의로움과 도에 달려 있는 것이니, 이것이 없어지면 쭈그러든다. 호연지기는 의로움을 거듭하여 만들어지는 것이지 갑자기 하루아침에 생겨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반드시 호연지기를 기름에 있어 효과를 미리 성급하게 기대하지 말고 마음에도 잊지 말아야 하며 억지로 조장하지도 말아야 한다." 라고 대답했다.

 

호연지기란 의와 도가 쌓여 충만함으로써 저절로 생기는 것으로, 정도를 행하여 절도를 지키는 사람에게만 나타나는 대장부의 기상이다. 오늘날 공명정대한 인격에서 우러나오는 호방한 마음이나 또한 도의에 뿌리를 박고 공명정대하여 무엇에도 구애됨이 없는 도덕적 용기를 가리키는 말로 흔히 쓰인다.

 

 

■ 맹자의 성선지설

 

중용에 이르기를 사람의 본성은 하늘이 사람에게 부여한 것으로, '사람이 태어날 때부터 하늘이 준 성품을 성이라 하고, 성을 따르는 것을 도라하고, 도를 닦는 것을 교라고 한다. (천명지위성 솔성지위도 수도지위교)' 라 했다. 그러나 공자는 하늘이 내려준 천명을 인간의 본성이라고만 말하였지 무엇이 인간의 본성인가에 대해서는 자세히 언급한 바가 없다.

 

공자의 사상과 행동의 밑바닥에는 하늘 또는 하느님에 관한 확고한 믿음이 깔려 있었지만, 공자는 인간의 본성이나 천도와 같은 형이상학적 문제는 심도깊게 다루지 않았다. 그러나 맹자는 공자가 말한 천명과 천도가 무엇인지에 집중적으로 몰두하였다. 이렇게 하여 맹자는 공자의 유가 사상을 형이상학으로 이끌어 올렸다. 맹자는 '하늘로부터 물려받은 것이 성'이라고 한다는 명제를 깊이 숙고하여 천성의 본질과 천성의 근본원리를 사유와 직관에 의해서 집대성하여 그 유명한 '성선지설'을 주창하게 되었다. 공자의 원시 유교가 학문적으로 체계화도고 발전할 수 있었던 것은 위대한 철학자 맹자 때문이었다.

 

 

■ 맹자의 핵심사상 사단설

 

맹자는 인간의 본성에 대해 사단설을 주장한다. "측은하게 여기는 마음은 인의 단서이고, 부끄러워하고 죄를 미워하는 마음은 의의 단서이고, 사양하는 마음은 예의 단서이고, 옳고 그름을 가리는 마음은 지의 단서이다. 사단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자기는 할 수 없다고 하는 자는 자신을 해치는 자이고, 자기 임금은 할 수 없다고 하는 자는 자기의 임금을 해치는 자이다. 무릇 사단이 나에게 있는 것을 모두 넓혀서 채울 줄 알면 마치 불이 처음 타오르며, 샘물이 처음 솟나는 것과 같은 것이니, 진실로 이것을 세울 수 있다면 사해를 보호할 수 있거니와 진실로 이것을 채우지 못하면 제 부모조차 섬길 수 없을 것이다."

 

남을 사랑하여 측은하게 여기는 측은지심, 불의를 부끄러워하고 미워하는 수오지심, 양보하고 공경하는 사양지심,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시비지심, 이 네가지 인간의 본성에 대한 맹자의 주장은 후에 사단 칠정론으로 확대된다. 맹자의 성선지설은 맹자가 첫번째로 언급한 바로 측은지심에서 나온다. 인간에게는 태어나기 전부터 선천적으로 선을 행해 가는 본성이 있다는 말이다.

 

 

■ 인간의 본성이 선함에도 불구하고 사람이 불선해지는 이유

 

맹자는 사람이 불선해지는 이유로 세가지를 들고 있다. 첫째, 함닉, 주위 환경의 제약에 따라 사람의 마음이 그 속에 빠짐으로 성선의 기초가 허물어져 드러나지 못한다.

즉 천재지변과 같은 자연 환경과 혼잡한 사회악과 같은 외부의 상황 때문이다. 둘째, 곡망, 인의지심이 일어나지만 사리사욕의 훼방으로 성선의 마음을 잘 보존하여 기르지 못하고 오히려 소멸되기 때문이다. 세째, 방실, 반성할 줄 몰라 마음을 보존하지 못함으로써 결국 양심이 작용하지 못하는 타락한 상태에 빠지게 된다. 어리석음, 게으름과 같은 놓아버린 마음(방심)이 그것이다. 이 놓아 버린 마음이야말로 타고난 성선을 파괴하는 최고의 악행인 것이다.

 

"인은 사람의 마음이요, 의는 사람의 길이다. 그 길을 버리고 따르지 아니하며 그 마음을 놓아버리고 찾을 줄 모르니, 아아, 슬프도다, 사람이 개나 닭이 나간 것이 있으면 찾을 줄을 알지만 마음을 놓아버린 것이 있으면 찾을 줄을 모른다. 학문의 길이란 다른 것이 없다. 바로 그런 놓아버린 마음을 찾는 것일 뿐이다."

 

 

 

'읽은 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설 맹자 / 묵자와 양자  (0) 2015.05.13
소설맹자 /순자  (0) 2015.05.12
등대로  (0) 2015.04.29
독일인의 사랑  (0) 2015.04.20
소설 공자  (0) 2015.04.1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