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진에 명산물이 없는 것은 아니다. 나는 그것이 무엇인지 알고 있다. 그것은 안개다. 아침에 잠자리에서 일어나서 밖으로 나오면, 밤사이에 진군해 온 적군들처럼 안개가 무진을 삥 둘러싸고 있는 것이었다. 무진을 둘러싸고 있는 산들도 안개에 의하여 보이지 않는 먼 곳으로 유배당해 버리고 없었다. 안개는 마치 이승에 한이 있어서 매일 찾아오는 여귀가 뿜어내는 입김과 같았다. 해가 떠오르고, 바람이 바다 쪽에서 방향을 바꾸어 불어오기 전에는 사람들의 힘으로써는 그것을 헤쳐버릴 수가 없었다. 손으로 잡을 수 없으면서도 그것은 뚜렷이 존재했고 사람들을 둘러쌌고 먼 곳에 있는 것으로부터 사람들을 떼어 놓았다. 안개, 무진의 안개, 무진의 아침에 사람들이 만나는 안개, 사람들로 하여금 해를 바람을 간절히 부르게 하는 무진의 안개, 그것이 무진의 명산물이 아닐 수 있을까!


그 바람 속에는, 신선한 햇볕과 아직 사람들의 땀에 밴 살갗을 스쳐 보지 않았다는 천진스러운 저온, 그리고 지금 버스가 달리고 있는 길을 에워싸며 버스를 향하여 달려오고 있는 산줄기의 저편에 바다가 있다는 것을 알리는 소금기, 그런 것들이 이상스레 한데 어울리면서 녹아 있었다. 햇볕의 신선한 밝음과 살갗에 탄력을 주는 정도의 공기의 저온 그리고 해풍에 섞여 있는 정도의 소금기, 이 세가지만 합성해서 수면제를 만들어 낼 수 있다면 그것은 이 지상에 있는 모든 약방의 진열장안에 있는 어떠한 약보다도 가장 상쾌한 약이 될 것이고...


무엇이 주이고 무엇이 부인가? 김승옥의 섬세한 감성과 표현에 무게를 둘 것인가, 아니면 김승옥이 그리고자하는 인물에 무게를 둘 것인가?

위대한 개츠비의 파괴적 영향력이 지나치게 크다. 의미없는 표현이 없다.

김승옥식 표현은 단절 단절, 이성적인 노력으로 연결되지 않는 토막 토막 난 글들,

하인숙, 세무서장인 조씨가 따 먹으려던 여자, 꽁생원같은 선량한 박선생이 좋아하던 여자, 서울로 데려가 달라던 여자, 그 여자는 바닷가 서울 남자가 하숙하였던 집에서 조바심을, 칼을 빼앗지 않으면 절망에 사로잡혀 찌를 사람처럼, 조바심을 느끼던 여자에게서 조바심을 빼앗아 버렸다. 그 조바심이 정체가 무엇이었을까? 조바심을 빼앗긴 여자는 서울로 가지 않겠다고 하고, 서울 남자는 그 여자를 사랑한다고 생각하고, 끝내 그 여자를 서울로 데려가겠다고 하는데,

그 빼앗긴 조바심이란, 모든 것을 달라지게 만드는 것인가? 여자가 먼저 남자를 유혹했고, 남자는 유혹을 당했고, 그런데 왜 여자는 남자를 유혹했는지 알 수가 없다. 다만 서울 남자라는 이유로, 서울로 데려가 달라고,...그런데 조바심을 빼앗기고 나서는 또 서울로 가지 않겠다고...


무진 기행의 키워드는 안개, 모든 것이 안개 속에 뿌옇게 사라져 버린다. 무진을 둘러싸고 있는 산들도 안개에 의하여 보이지 않는 먼 곳으로 유배되어 버리고 없다.

수치도, 책임도 무책임도 모든 것이 유배되어 버리고 없는 세상, 그 세상이 무진이다. 이 무진은 당시의 세상을 의미하는 것이었을까? 서울은 희망의 장소, 믿음의 장소였을까?


돈 많은 과부를 어떻게 만났을까? 급상경요 회의참석요. 이 전갈은 전무가 될 것임을 알리는 것, 이 전보로 모든 안개가 걷히고...


자살한 여자, 술집작부, 독해서 죽을 것 같지 않았던 여자, 이 여자의 죽음을 지켜 주고 있었던 불면의 밤....

서울 남자는 옛 자신을 현재의 자신으로 끌어내기 위해 애를 쓴다.

옛 모습은 골방에 숨어 의용병도 국군도 ...징집을 피하기 위해 선배와 친구들이 전방에서 싸우는 동안 골방에 숨어 있었다. 어머니의 성화로...하지만 점점 무거워 지는 마음 전장을 달려가는 마음, 밖으로 나가고 싶은 마음

1년동안 폐병을 고치기 위해 바닷가의 집에서 하숙을 한다. 쓸쓸한 느낌을 엽서에 써서 사방으로 보냈던 옛 모습

나오는 인물, 주인공, 어머니, 어머니의 산소에 들러 이슬비 내리는 산소 앞에서 절을 한다. 긴 풀을 뽑는다.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과 감사의 표시런가. 골방에 자신을 숨겨준 어머니, 그리고 어머니가 죽고 난 후 폐병이 들었다는 것은 그 만큼 어머니의 사랑과 보살핌이 컸다는 그런 의미일까? 어쨌든 어머니.

하인숙, 박선생, 조씨, 자살한 술집 작부, 서울 남자의 부인, 장인....


개구리 울음 소리가 하늘에 반짝이는 별들로 화하는 청각이 시각으로 변하는 이상한 현상....

개구리 울음이라고 답하며 하늘의 별들을 쳐다 본다. 그리고는 또렷이 깨닫는다. 나와 별 사이의 거리를, 그리고 별과 별 사이의 거리를

사람과 사람사이의 거리감을 이야기하려는 건가?


끝없는 의문이 잇달아 올라오면서, 과연 김승옥님은 이런 표현을 함에 어떤 의미를 두고 있었던 것일까?

'읽은 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물리학과 동양사상  (0) 2016.06.18
무량수전 배흘림기둥에 기대서서  (0) 2016.06.10
수영문예 (제19호 2015)  (0) 2016.05.20
억척 어멈과 그 자식들  (0) 2016.04.27
길 위에서  (0) 2016.04.0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