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욱동 지음/ 글항아리

 

에코의 말 처럼 '번역은 실패의 예술'일 수 밖에 없을까?

 

번역가들은 무한 공간의 끝자락을 붙잡으려는 무모한 예술가들이다. 번역가들은 축역(직역)과 의역의 스펙트럼 사이에서 방황하는 고된 예술가들이다.

 

신의 분노로 언어가 혼잡해 지고 바벨탑이 무너진 이후 끊임없이 번역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왔다. 세월이 흐르면서 심지어 신의 말씀도 번역이 되어야만 했다. 이런 상황 속에서 어떻게 번역을 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방법론적 문제가 오랫동안 논의되어왔다. 김욱동교수는 통번역학과의 교수로 번역의 문제에 학문적으로 접근하고 있다.

 

김욱동 교수는 의역에 무게를 두고 있지만, 원전에 따라 축역과 의역의 스펙트럼사이를 마음대로 움직일 수 있는 번역의 필요성을 드러내고 있다. (축역은 일반적으로 말하는 직역을 의미한다. 그리고 직역의 원래 의미는 원전에서 직접 번역한 것을 뜻한다고 한다. 직역과 상대되는 말은 중역이다. 영어에서 일본어로, 일본어에서 한국어로 번역하는 경우를 중역이라 한다. 축역의 상대어는 의역 또는 자유역이 된다.)

 

제대로 된 번역을 하기 위해 번역가가 타파해야 할 세가지 우상이 있다. 첫째 모국어에 대한 편견  둘째 번역을 암호 해독 행위에 비하는 태도, 세째 완벽한 번역에 대한 그릇된 믿음. 번역가는 이 세가지 우상에서 벗어 날 때 비로소 번역가로서의 제대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원천언어만 제대로 알고 있으면 제대로 번역할 수 있다는 생각은 잘못된 것이다.원천언어에 대한 해박한 지식은 필수적이기는 하다. 하지만 그것은 필요충분조건은 아니다.  원천언어만이 아니라 목적언어를 잘 알고 있어야 한다.

 

번역을 암호 해독으로 생각하는 것도 잘못된 생각이다. 번역가는 원천텍스트의 표층적 의미 뒤에 숨어 있는 심층적 의미를 충분히 파악해야 한다. 텍스트의 의식뿐만 아니라 무의식을 읽어 낼 수 있어야 한다

 

완벽한 번역은 있을 수 없다. "번역은 결코 끝나지 않으며, 그것은 열려 있고 무한히 계속될 수 있다는 생각이 든다." 번역을 미완의 작업으로 여기는 그레고리 라바사의 말이다. 이 때문에 하나의 원전에서 다양한 번역이 나오는 것이며, 다양한 번역들은 모자이크를 이루어 원전을 보다 올바르게 이해하도록 도와 줄 수 있다. 

 

<번역의 미로>는 한편 딱딱하기도 하면서, 또 다른 한편으로는 다양한 번역 이론을 실제 번역 사례와 더불어 제시하고 있어 흥미로운 부분이 적지 않다. 또한 어떻게 번역을 해야 할 것인지 각자의 철학을 가지고 있어야 함도 지적하고 있다.    

 

 

-

이종인 지음 / 즐거운 상상

 

"이제 번역가는 글쓰기로 말한다"

 

직역인가, 의역인가? 이 문제는 점점 도를 더해 가며 논쟁의 불씨가 되고 있는 이슈이다. 원문의 결도 살리고, 원작의 내면을 잘 드러낸다면 이보다 좋은 번역이 어디 있겠는가? 하지만 어쩔 수 없이 양자 택일을 해야만 하는 때가 비일비재할 것이다.

 

출판사의 입장에서는 원문의 향기는 살아있지만, (물론 번역 과정에서 원문의 향기가 온전히 살아 있을 리 만무하겠지만) 이해하기 어려운 번역보다는, 원문의 결을 조금 손상시키더라도 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번역을 선호할 것이란데 이론은 없을 것이다. 점점 의역이 대세를 잡아가는 데에는 이러한 상황이 큰 몫을 하고 있는 것이리라. 

 

번역은 글쓰기이며, 번역은 창작이다라고 주장하는 근거는 무엇인가? 창작은 자연의 언어를 원어로 하는 번역물이다. 자연의 언어를 인간의 언어로 바꾼 것이 원작이다. 그러므로 그것은 창작이자 또한 번역이다.

 

그러므로 좋은 번역을 위해서는 좋은 글쓰기가 선행되어야 한다. '좋은 번역가가 되려면 글쓰기에 집중하라'는 제하에 번역가의 글쓰기를 위한 7가지 법칙을 소개한다.

 

첫째 상투를 잡지 마라

상투적 표현을 멀리하라는 것이다. 조지 오웰은 '신문과 잡지에서 자주 만나게 되는 직유, 은유, 기타 비유법은 절대로 사용하지 말라'라고 말했다. 진정한 창작이 되려면 개성, 독창성이 살아 있는 표현을 찾아야 한다.

 

둘째, 불분명한 단어를 피하라

작가의 생각을 분명히 전달할 수 있는 표현을 선택해야 한다.

 

셋째, 수식어를 억제하라

러시아의 소설가 체홉은 수식하는 명사와 형용사와 동사가 너무 많으면 문장이 독자의 주의력을 사로잡기 어렵다고 말했다. 일부러 수식어를 동원하여 아름답게 꾸미려고 하면 문장이 애매모호해 질 수 있다. 수식어를 사용하려면 그 사용에 대한 분명한 이유가 있어야 한다.

 

네째, 연결이 좋아야 한다

하나의 문장 내에서 각 단어와 어구들이 잘 연결되어야 한다. 더 나아가 문단내에서 각 문장들이 잘 연결되어야 한다. 더욱 중요한 것은 문단과 문단이 서로 잘 연결되도록 해야 한다. 각 문단의 첫번째 문장을 어떻게 제시하는가에 따라 그 문단의 성격이 결정된다.  

 

다섯째, 구조를 갖추어라

기승전결과 같은 구조가 뚜렷한 글이 되어야 한다. 이러한 구조에 기여하지 않는 디테일(세부사항)은 아무리 인상적인 표현, 인용, 대화라 해도 제거해야 한다.

 

여섯째, 여백을 남겨 놓아라

하고 싶은 말을 다 하지 않고서도 자신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이다. 열 마디로 말할 것을 일곱 마디 정도로 말하는 것이다. 나머지는 독자의 몫으로 남겨두는 것이다.  

 

일곱째, 솔직하라

공감대를 형성하려면 솔직한 인상을 주어야 한다. 

 

글쓰기는 작가마다 다 그 방법론이 다를 것이다. 이종인씨가 제시하는 일곱가지 중에서도 나름 필요한 요소를 뽑아 자신의 글에 적용할 수 있다면 보다 향상된 글을 쓸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그리고 이러한 글 쓰기는 번역을 하기 위한 좋은 기초가 될 것이다.

 

번역가들의 노고가 없다면 우리가 접하는 수많은 정보들에 제대로 접근할 수가 없을 것이란 점에서 본다면, 그들에 대한 대우가 사뭇 달라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번역가들은 더욱 큰 책임을 가지고 이 일에 임해야 함에 마땅할 것이다. 

 

그러나 처음부터 완벽하게 모든 것을 할 수는 없는 법이라 생각하며, 꽤 매력적인 번역가의 길을 흘낏 쳐다본다. 과연...?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