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에 집을 나섰다. 드문 일이다. 밖에는 가는 비가 내리고 있었다. 순간 봄을 생각한다. 이 비는 필시 봄비?

그 날 저녁 뉴스를 통해 입춘이라는 것을 알았다.

 

 

 

가덕도 앞 바다 매립지, 아직 입주가 덜 된 아파드 단지 하나만 덩그러니 매립지 사이에 놓여 있다.

주위는 황량한 불모지처럼 보이는 빈터에 누렇게 바랜 키 큰 잡풀만이 바람에 흔들거린다. 

무료하게 기다리며 보도를 천천히 걸으면서 봄 볕을 만끽하던 중 가로수에,

멀리서 보면 마치 새빨간 꽃처럼 보이는, 콩만한 빨간 열매가 포도처럼 나뭇잎 사이로 머리를 내밀고 있다. 

 

<먼나무>

 

<파라칸사스>

 

먼나무일까? 파라칸사스일까? 알 수가 없다.

그런데 문득 왜 이제사 이것을 보게 되었을까? 여기서 한 참을 왔다 갔다 했는데?

이 길을 지나는 사람 중 몇이나 이 빨간 열매의 존재를 의식하고 있을까?

도로 건너편 상가의 사람들은 이 예쁜 빨간 열매의 존재를 알고나 있을까?

눈에 보이지 않지만 존재하는 사물이 있다.

하지만 눈에 보이는 존재도 때로는 보이지 않을 때도 있는 법인가 보다. 관심을 기울이지 않으면, 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보이지 않는 것이 있다 보다.

이 순간 나는 '그리스인 조르바'가 된 듯 하다. 

조르바는 항상 만물을 경탄의 눈으로 바라본다. 매일 보는 사물들이 그에게는 새롭게 보이는 것이다. 

어제의 것이 오늘의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조르바는 직감적으로 알고 있는 것이다. 

범인의 눈으로 보면 조르바는 바보처럼 보인다. 오늘 이 순간 보는 것이 어제 본 것과 같은 것인데, 그 새 어제 본 것을 잊어버렸단 말인가? 바보...

그러나 정작 바보는 조르바가 아니라 매일을  똑 같은 것으로 보는 사람들이 바보일뿐이다.

난 오늘 새삼 조르바의 눈을 가지고 봄을 느끼고 바라보고 있다.

난 봄의 도래를 기뻐하고 있는 것이다.

 

내 앞에 있는 불모의 매립지에는 봄이 어떤 모습으로 오고 있을까? 급관심이 생겼다. 

다 시들어 죽어버리고 그 뼈대만 남아 군데 군데 흔들거리는 잡풀들이 무성한 땅으로 발을 내 딛뎠다. 

그 땅에서 나는 생명을 이어나가려는 고단한 몸짓을 발견했다. 

도둑놈 가시가 생명을 퍼뜨려 줄 매개체를 기다리며 가시를 세우고 있었다.

지난 가을 이후로 계속 발톱을 세우고 기다렸던 것일테지.

그러다 희생자가 나타나지 않으면 말라 비틀어져 바로 아래 땅 바닥으로 떨어져 싹을 틔울 테지.

 

<도둑놈 가시>

 

허리를 낮추고 무릎을 굽혀 가만히 앉았다. 낮은 곳에 마른 강아지 풀이 보였다. 

땅에서 20cm 자란 조그만 새끼 강아지 풀이 바람에 파르르 떨린다.

가는 줄기는 약한 바람에 조차 견디지 못하여 휘어지려하나, 물기를 잃고 말라 붙은지라 부드럽게 허리를 휘지 못하고 다만 파르르 떨릴 뿐이었다. 

갓 태어난 새끼 강아지가 몸을 가누지 못하고 가늘게 떠는 듯 하다.

 

<강아지 풀>

 

강아지 풀 아래 습기를 머금고 있는 땅 위에 진한 초록색 이끼들이 땅을 뒤덮고 있다.

살아 있는 생생한 초록빛이 햇빛에 반짝인다. 생명은 질기게도 그 목숨을 이어가고 있구나. 

그 생명의 경탄스러운 탄생의 때가 무르 익고 있다. 

 

<이끼>

 

도서관. 김훈의 <자전거 여행>을 찾았다.

책들 사이로 언듯 고개 숙인 아가씨의 붉은 입술이 보인다.

봄이라서 그럴까?  

서가 앞에 서서 고개 숙여 책을 읽는 모습이 아름답다. 마치 영화의 한 장면 같이...

 

<러브레터>

 

김훈의 <자전거 여행>을 뽑아 들고 책상에 앉았다.

춤추는 듯 현란한 문장 속에 작가의 생각이 난해하게 펼쳐져 있다.

김훈의 매력적인 글에 경탄을 발하면서 한편으로는 행간을 읽어 내기가 힘들다고 생각한다. 

편히 앉아는 있지만 머리속으로는 작가의 심중을 읽어내려고 고전분투하고 있다.

붉은 입술의 긴 생머리 아가씨가 왼쪽 옆 자리에 앉는다.  

나는 오른손으로 머리를 받치고 비스듬히 책상에 기대어 책을 읽어 나가다 나른함에 조용히 눈을 감는다. 봄 기운때문일까? 

아! 편안하다. 나른한 행복감이 몸에 흐른다.   

 

<러브레터>

 

'기타등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끼치는 봄  (0) 2015.03.20
왕벚나무를 감싼 분홍빛 봄의 정령  (0) 2015.02.24
해변 산책 단상  (0) 2014.12.19
[스크랩] 나무를 심는 사람/장 지오노  (0) 2014.12.09
[스크랩] 새지 않은 밤 - 이문열  (0) 2014.11.10

그리스인 조르바    니코스 카잔차키스 / 이윤기 / 열린 책들

 

서점에 꽂혀 있는 <그리스인 조르바>를 보고 설레는 마음, <월든>을 보았을 때도 이 같은 약간의 흥분을 느꼈던 기억이 스쳐지나간다.

하지만 읽는 데 여러날이 걸렸다. 아껴서 읽는 탓은 아니다. 읽기가 힘들었다고나 할까? 무의식중에 카잔차키스의 표현에서 은유를 찾아내려한다. 표현 하나 하나에서 주인공의 심정이나 작가의 은밀한 생각을 읽어내려는 의식이 책을 읽어 나가기 힘들게 한다. 위대한 개츠비를 읽은 탓이려니 생각한다. 아무 생각없이 읽고 싶었다. 

 

<그리스인 조르바>는 두목과 조르바의 우정이야기, 서로 다르지만, 서로를 이해하고, 사랑하는 두 사람의 이야기이다. 두목은 물주이고, 조르바는 고용인이다. 두목은 30대, 조르바 60대? 아마 그럴 것이다. 두목은 삶의 의미를 찾기 위해 책으로 향한다. 동양의 종교에 심취해 있는 듯, 매일 불경을 읽으며 뭔가를 찾는다. 조르바는 삶에서 무엇을 찾으려 하지도 않는다. 다만 삶속에서 삶을 즐긴다. 관습도, 도덕도, 종교도 그를 막아 설 수가 없으리만큼 그는 자유롭게 살아간다. 그에게는 원시의 처녀림처럼 자유로운 영혼의 냄새가 난다. 두목은 조르바가 마음에 든다. 조르바는 두목이 가지고 있지 않는 그 무엇을 가지고 있다. 자유로운 영혼을... 조르바는 책속에서는 찾을 수 없는 진짜 생생한 삶을 살고 있는 삶의 화신인 것이다. 조르바의 삶, 조르바의 자유는 그저 모순 덩어리이다. 삶은 욕망이며, 자유는 욕망의 충족이며, 욕망의 상호 충족의 원칙만이 조르바를 구속할 뿐이다. 갈탄을 캐내려는 시도가 완전히 물거품으로 돌아가고 모든 것을 날려버렸을 때에도, 조르바는 춤을 춘다. 해변 모래사장에서, 두목도 함께 춤을 춘다. 그들을 막을 수 있는 건 없다. 실패도, 가난도 그들을 막을 수 없다. 삶은 계속되는 것이다. 자유란 그런 것이다.

 

<그리스인 조르바>에는 반 종교적인 색채가 진하게 풍긴다. 신을 부정하는 듯한 느낌들, 불신. 부패하고 타락해져 가는 종교를 향한 혐오감일까? 절대적 자유를 찾기위해종교에서 벗어나려는 몸부림일까? 신에 대한 완전한 부정일까? 아니면 신에게 던지는 질문일까? 카잔차키스는 <그리스인 조르바>를 통해 관습, 도덕, 종교에 기반을 둔 전통적인 삶의 모습을 허물어뜨리고, 자유로운 삶을 보여주려한다. 그는 두려워한다. 자유가 행복을 가져다 줄 것인지, 그는 확신할 수 없다.

 

<그 사람들이 눈을 떴을 때, 당신이 지금의 암흑 세계보다 더 나은 세계를 보여 줄 수 있다면.... 보여 줄 수 있어요?" 나는 알지 못했다. 나는 타파해야 할 것이 무엇인가는 잘 알고 있었다. 그러나 그 폐허에 무엇을 세워야 하는지, 그것을 나는 알지 못했다. ...낡은 세계는 확실하고 구체적이다. 우리는 그 세계를 살며 순간순간 그 세계와 싸운다.... 그 세계는 존재한다. 미래의 세계는 아직 오지 않았다. 환상적이고 유동적이며 꿈이 짜낸 빛의 천이다. 보랏빛 바람에 둘러 싸인 구름... 이땅의 아무리 위대한 선지자라도, 이제는 암호 이상의 예언을 들려 줄 수 없다. 암호가 모호할수록 선지자는 위대한 것이다.> 92쪽

 

자유란 달콤한 꿀처럼 유혹적인 마력을 가지고 있지만, 자유가 진정한 삶의 길이 될 수 있을 것인가? 아무도 모른다. 두목은 유보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목은자유를 갈망한다. 그래서 그는 자유의 삶을 사는 조르바를 좋아하는 지도 모른다. 

 

자유란 무엇인가? 자유란 선택할 수 있는 능력이 아닐까? 선택할 자유와 능력이 있다면 자유로운 것이라고 말하고 싶다. 스스로의 선택에 의해 틀안으로 들어간 사람은 비록 외면적으로는 자유롭지 않아 보이겠지만, 여전히 그는 자유인이다. 그러면 물고기가 물 속에서 자유로운 것처럼, 스스로가 처한 틀을 의식하지 못하면서 자유롭다고 느깐다면, 자유로운 걸까? 그것은 선택에 의해 자유를 획득한 것이 아닐텐데. 그것은 주어진 자유일텐데...물고기가 물을 의식하지 못하고 물에서 자유로운 것과, 물이라는 구속을 의식하면서도 그 가운데 자유로운 것중 어느 것이 더 큰 자유일까? 물고기가 물 밖 세상을 동경하여 물을 뛰쳐 나와 장렬히 죽음을 맞는다면, 그것은 그의 선택이므로 자유로웠던 것일까?

 

자유란 절대 선이 아니다. 자유란 상대적 선일지도 모른다. 자유란 상대적인 악일 수도 있다. 상대적이란 것은 필시 잣대가 요구되는데, 그러면 상대적 세계에서의 잣대란 어떤 의미를 지니는 것일까?  존 스튜어트 밀의 <자유론>이 생각난다. 자유를 한계지으려는 시도, 어차피 자유란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는 것일 뿐....

 

이 길을 내려 갈 것인가? 말 것인가?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