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림> 최인호 지음/ 열림원
최인호 작가는 <유림>을 쓰기 위해 3년동안 수십권의 책을 읽었다고 한다. 유림이란 유학의 숲이란 뜻이다. 이 책 <유림>에서는 유학의 창시자인 공자로부터 시작해서 맹자, 주자, 조광조, 이율곡, 이퇴계등의 중국과 조선의 유학자들의 이야기이다. 하지만 이 소설의 정점은 퇴계 이황이다. 공자와 맹자의 전통을 이어받은 주자, 주자로부터 시작된 성리학은 조선의 건국이념이 되었고, 조선은 수많은 성리학자들을 낳는다. 그 중에 퇴계 이황은 주자의 '성즉리(性卽理)"의 사상을 충실히 발전시켜 성리학 최고봉의 자리에 앉아 '해동주자'라 불린다.
유학은 오랫동안 거대한 중국의 통치이념으로서 역할을 했고, 조선의 건국 이념이기도 했지만, 정작 우리네가 유학에 대해 아는 바가 별로 많지 않다는데 순간 깜짝 놀란다. 서구 문명과 문물에 밀려 보이지 않는 구석에 초라하게 자리한 유학의 실체는 무엇일까? 예로부터 충효를 중시하는 정신은 유학에서 비롯된 것이며, 조선의 철학사를 풍미하던 성리학이니, 또는 양명학이니, 퇴계 이황의 이기이원론, 이율곡의 이기일원론이니 하는 말은 들어 보았지만 도대체 이것이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도통 알지를 못했다는 점을 실토해야겠다. 최인호의 유림 1~6권은 유학의 숲이 어떻게 시작되고 발전하여 아시아의 동쪽 작은 나라인 조선에서 이황에 의해 꽃을 피우게 되었는지를 보여준다.
유림 1권은 유학의 왕도를 현실 정치에 접목하려다 실패한 정치가 조광조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공자가 자신의 사상을 정치에 접목하려다 실패하였고, 맹자 역시 동일한 길을 밟았으나 결국 뜻을 이루지 못한 한일까? 조광조는 중종의 총애를 받고 혜성처럼 등장하여 유학의 정신을 바탕으로 정치를 개혁하려 하였으나, 훈구파에 밀려 생명을 내어 놓아야 했던 비운의 정치가이다. 조광조와 함께 한 사림파의 앞날이 촉망되던 수많은 젊은 선비들도 사화에 말려 추풍낙엽처럼 스러져 간다.
유림 2권은 공자의 이야기이다. 최인호의 <소설 공자>와 거의 같다. 18년동안 수많은 나라들을 주유하며 자신의 뜻을 펴 보이려 했지만, 패도정치가 만연하던 춘추전국시대에 왕도정치를 실현하려는 공자의 꿈은 허망하기만 하다. 고향 노나로 돌아온 공자는 현실정치에 대한 열망을 접고 자신의 학문을 정리하며 저술에 힘쓴다.
유림 3권은 퇴계 이황의 이야기. 퇴계의 불행했던 결혼생활과 노후에 나비처럼 날아든 사랑 - 퇴계를 향한 기생 두향의 일편단심을 이야기한다. 이황의 부인 권씨 부인은 어릴 때 받은 정신적 충격으로 인해 정신이 온전하지 못한 여자였다. 사화로 인해 집안이 풍비박산이 나는 모습을 보고 큰 충격을 받았던 것이다. 퇴계는 권질이라는 분을 존경하고 있었는데, 유배되어 간 권질을 방문했다가 그로 부터 간곡한 요청을 받는다. 염치없지만 모자란 딸을 맡아달라는 것이다. 퇴계의 부인 권씨부인은 바로 권질의 딸이었던 것이다. 퇴계는 정신적으로 모자란 부인때문에 평생 마음의 고통을 안고 살아간다. 하지만 한 번도 이를 내색하지 않고 군자의 도로 한결같은 정성으로 부인을 대한다. 퇴계는 가정생활에서 먼저 군자의 도를 실천하는 모습을 보여준 것이다. 그는 실제로 이러한 상황을 오히려 자신을 수양할 수 있는 기회로 여겼다고 한다.
퇴계는 나이 사십후반에 임금의 명으로 단양군수로 부임하게 된다. 19세의 기생 두향은 퇴계를 존경하며 연모한다. 퇴계도 두향을 지극히 아낀다. 9개월간의 두향과 꿈같은 세월을 보낸 후 퇴계는 단양을 떠나게 되고 두향과는 영원한 이별을 맞는다. 고향으로 물러나 학문에 정진하고자 했던 퇴계에게는 두향의 사랑이 오히려 거침돌이 될 것이라 여겼던 탓이리라. 이후 두향은 퇴계를 그리워하며 평생 수절하며 지내다 퇴계가 죽은 해 물위에 몸을 날린다. 그리워하면서도 더 이상 만나지 않았던 그들. 퇴계가 두향을 이별하며 남긴 전별시는 가슴이 아린다.
"죽어 이별은 소리조차 나오지 않고
살아 이별은 슬프기 그지없더라
서로 보고 한 번 웃은 것 하늘이 허락한 것이었네.
기다려도 오지 않으니 봄날은 다 가려고 하는구나."
4권은 맹자의 이야기, <소설맹자>와 거의 동일한 내용이다. 맹자는 성선설로 공자의 유학을 형이상학의 경지로 끌어 올렸으며, 제자쟁명의 시대에 수많은 사상가들과의 논쟁을 통해 유학을 지켜내고 유학을 발전시킨 맹장이다. 맹자가 성선설의 근거로 제시했던 사단 - 측은지심, 수오지심, 사양지심, 시비지심-에서 인의예지가 나타난다고 보았다. 공자는 성인이라 불리고, 맹자는 아성으로 불린다. 유교사상을 공맹사상으로 부를 정도로 유교에 대한 맹자의 기여도는 지대했다.
<유림> 5권은 율곡 이이의 이야기이다. 율곡의 어머니는 유명한 신사임당, 율곡은 어려서부터 천재적인 명석함을 보여주었다. 태몽으로 용을 보았다고 해서 아명은 몽룡이었다. 율곡의 나이 15세에 신사임당이 죽고, 새로 들어온 새어머니와 형과의 갈등으로 가정에 우환이 있어 고통스런 세월을 보냈다고 한다. 아마 나이 19세에 불문에 귀의한 것도 이 때문이 아니련가. 하지만 1여년의 방황끝에 율곡은 다시 유교로 돌아온다. 율곡은 퇴계를 찾아가 2박3일을 머물며 이야기를 나눈다. 퇴계로부터 깊은 감명을 받은 율곡은 퇴계를 정신적 지주로 삼고 유학에 정진하고자 하는 듯을 굳히게 된다. 이후 과거시험에 <천도책>으로 장원급제하게 되는데, 그 과거시험의 답안지였던 <천도책>이 소개되고 있다.
6권, 다시 이퇴계의 이야기이다. <유림> 6권에서는 조선 성리학 역사상 최대의 이슈였던 기대승과과 사단칠정논변이 전개된다. 한참 연배가 아래인 기대승과 편지를 통해
심도깊은 철학적 논의가 이루어진다. 퇴계의 사상에 대한 기대승의 의문제기에 퇴계는 자신의 사상을 돌아보고 미흡하고 잘못된 점은 겸손히 받아들이고, 자신의 이론을 수정한다. 참 대인배다운 모습이다. <유림> 6권에서는 이기론의 역사가 실려있다. 주돈이의 태극사상, 정이 정호 두 형제의 성리론, 유학의 전통과 당시의 성리학을 집대성한 주자(주희)의 성리학, 육구연으로 부터 왕양명에 이르는 양명학등등...일종의 정치사상으로 시작된 유학이 어떻게 형이상학적 철학으로 발전되었는지 그 경위를 흥미있게 보여준다. 성즉리(性卽理)는 성리학의 신조, 심즉리(心卽理 )는 양명학의 신조...양명학은 선불교와 유사하다. 주자 역시 젊어서는 선에 심취했으나 이연평을 만나 성현들의 책을 읽은 이후 유학의 오묘함에 눈을 뜬다. 아버지 주송으로부터 천자문을 배우던 중 아버지가 하늘을 가리키며 '천'이라고 이야기하자, 하늘위에는 무엇이 있느냐고 질문한 주희는 어른이 되어 물질적인 우주의 배후에는 더 높은 근본 원리가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수십년이 지난 후에 그것이 '리'라는 것을 깨닫게 되었던 것이다.
퇴계가 9살때 숙부로부터 '성즉리'를 배우다가, '리'가 무엇인가라고 숙부에게 물어 숙부를 당황케 하였다. 숙부는 대답을 미루고, '직접 생각해 보아라'고 말한다. 퇴계는 몇일을 생각한 끝에 '리'는 '마땅히 그래야 할 (시)라고 생각된다'고 숙부에게 대답한다. 퇴계는 이후 평생 '리'라는 화두를 붙잡고 파들어간다. 퇴계의 이기이원론의 원류는 여기에서 시작된 것이다.
매화를 극진히 좋아했던 퇴계는 '매화에 물을 주라'는 말을 마지막으로 남기고 이 세상을 떠난다.
'읽은 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를 읽다 (0) | 2015.08.06 |
---|---|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1 (0) | 2015.07.14 |
다산 - 그에게로 가는 길 (0) | 2015.05.27 |
소설 맹자 / 묵자와 양자 (0) | 2015.05.13 |
소설맹자 /순자 (0) | 2015.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