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읽는 한문- 계몽편, 동몽선습/ 이재황 지음/ 안나푸르나

 

언제부터일까? 한문에 관심을 가지게 된 것이.

 

초등 6학년 때 친구 따라 신문 배달을 했다. 가까운 곳을 배달했던 나는 먼 지역을 배달하던 친구가 돌아올 때까지 신문지국에서 기다렸다. 

아마 그 때였을 것이다. 신문을 보기 시작한 것이.

 

그 당시 신문은 한자가 많이 섞여 있었다. 한자를 몰랐지만 어쨌든 신문을 더듬 더듬 읽었던 기억이 난다.

아직도 기억 나는 건 '駐韓美軍'이라는 글자이다. 아마도 네 글자중 한 두 글자는 어떤 영문인지는 몰라도 알고 있었던 것 같다.

하지만 첫 글자 駐는 도통 음도 뜻도 모르는 글자였다. 사실 지금도 그 글자의 음이 '주'라는 사실만 알고 있을 뿐,

그것이 '말이 머무르다'란 뜻이란 건 방금 검색해 보고 나서 알게 된 것이다. 

그래도 그 단어가 '주한미군'이란 것을 짐작으로 알 수 있었다. 아뭏든 이렇게 저렇게 끼워 맞춰가면서 신문을 읽었던 옛 기억이 아련하다.

한자에 관심을 가진 것이 그 때가 처음이 아니었을까?

 

중학교에서 '한문'과목을 공부하면서 기본적인 글자와 '주술'관계니 뭐니 하는 문장의 구성에 대해 배웠다.

누구는 참 싫어하는 과목이기는 했지만 난 적어도 한문을 싫어하지는 않았다. 언제나 한자를 멋지게 쓰는 것을 좋아해서

낙서를 할 때도 한자 낙서를 좋아했다.  

아직도 기억나는 한시가 있다.

 

春水滿四澤 춘수만사택

夏雲多奇峰 하운다기봉

秋月揚明輝 추월양명휘

冬嶺秀孤松 동령수고송

 

봄에 눈이 녹아 흘러든 물이 사방 못에 가득하고

여름에 봉우리를 덮은 구름이 여러 모양이구나

가을 창공에 뜬 달은 밝은 빛을 내 비취고

찬 바람 부는 겨울 언덕위에는 외로운 소나무만 아름답구나

 

 

아마도 중학교 한문시간에 배웠던 시 같은데, 마지막 연은 확실치 않다. 그래도 시 한 수만큼의 관심은 있었던 것은 확실하다.

그 후 사회생활을 하다가 어느 때엔가 한자를 알면 많은 것을 쉽게 이해하고 기억할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선생님께서 가르쳐 주실 때 그 한문을 풀어서 설명해 주셨더라면 더 잘 기억할 수 있었을 텐데 라는 생각이 들었다.

국사 시간에 불상의 종류를 배울 때 나온 '반가사유상 , 이 이름을 외우느라 애를 먹었던 기억이 난다. 뜻도 모르고 그냥 무작정 외웠던 기억이 난다. 

그 의미가 '반만 책상다리를 하고 생각에 잠겨있는 불상'이라는 것만 알았어도, 그렇게 무작정 외우지는 않았어도 되었을 것이다. 

뒤 늦게 이런 것을 알게 된 나는 딸아이에게도 한자를 가르치고 싶었다.

 

그리고 나 자신도 한자를 좀 더 많이 알고, 동양의 고전을 원전으로 읽을 수 있었으면 하는 바램이 생기게 되었다.

그러다가 무위당님의 블로그 '나물먹고 물마시며'에서 천자문도 끝까지 읽어보고, 노자의 도덕경도 접해보면서 한문을 읽고 그 뜻을 파악하는 데 재미가 들렸다.

처음으로 중국어를 공부해 보고 싶은 마음이 들었고, 중국어 회화, 중국어 문법을 훓어 보기도 했다. 

 

서점에서 '처음 읽는 한문'이란 책을 발견했다.

소설가 김훈님의 추천의 말씀.  "이제 , 이재황 선생이 펴내는 ... 이 책으로 공부할 때 우리는 서당에 갓 입학한 조선 시대의 어린이가 된다. 이슬비에 땅이 젖고 군불에 아랫목이 따뜻해지듯이, 따라가면 저절로 문리가 트이니, 작은 것을 바탕으로 큰 것을 알게 되고 배우면 스스로 즐겁다는 말이 진실로 옳다." 이 말에 홀랑 빠져서 덜컥 가져다가 읽다가 중단하고, 다시 읽기 시작하여 끝을 내게 되었다. 하라는 공부는 안하고 그냥 소설 읽듯이 읽었다. 한자를 외울 생각도 하지 않고 그냥 한문과 해석을 비교해가며 읽었다. 죽죽 읽었다. 공부는 하지도 않고.

 

한자, 한문. 어렵다. 쉽게 이해되는 부분도 없지 않았지만, 어려운 부분은 역시나 어렵다. 글자도 어렵거니와 문맥을 통해서 내용을 파악해야 하는 것도 어렵다.

한자에는 정해진 품사가 없어서 더 어렵다. 한 문장에서 어떤 글자가 명사로 쓰인 것인지 동사로 쓰인 것인지는 순전히 문맥을 통해서 결정되는 것이라니 더욱 어렵다.

한자의 음은 알지만 뜻을 모르는 경우가 많기도 많다. 음과 뜻 둘 다 모르는 글자도 꽤 있다. 누군가의 말에 "맹자를 100번을 읽으면 문리를 깨친다"고.

그래도 계몽편과 동몽선습을 읽고 나니 간단한 문장은 눈에 들어온다. 반복적으로 한문을 읽다보면 깨치는 것도 있겠지. 

 

갈 길은 먼데, 방향과 방법이 맞는지 모르겠다. 아니라면 그 때 가서 궤도 수정을 해야겠지. 

김진명 장편소설/ 새움출판사

 

김진명은 이 소설 <글자전쟁>을 통해 역사학계가 해결해야 할 문제를 던진다. 한자는 어느 민족이 만들었는가? 당연히 중국의 한족이 한자를 만들었다고들 이야기한다.

하지만 이 당연히 받아들여지고 있는 사실을 부정한다면 이는 받아들여질 수 있을 것인가? <글자전쟁>은 한자가 한족이 동이족이라고 부르는 민족이라고 주장한다. 

이것이 사실이라면 엄청난 파장을 불러 일으킬 것은 불을 보듯 뻔한 일이다.

 

그러면 이런 엄청난 주장을 하려면 그에 걸맞는 근거가 있어야 할 것인데, 그 근거는 무엇인가? <글자전쟁>은 직격탄을 날린다.  

 

중국의 고대 역사는 삼황오제부터 시작한다. 그리고 하나라, 은나라, 주나라가 그 뒤를 잇고 있다. 이 중 은나라의 유적인 은허는 널리 알려져 있다. 특히 갑골문자가 발견된 것으로 유명한다. 한자의 기원이 된 갑골문자는 은나라에서 시작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은나라는 중국의 한족이 세운 나라로 알고 있지만, 실상은 동이족이 세운 나라이다. 은허에서 발굴된 여러 유골과 유물들은 그 나라를 세운 사람들이 동이족임을 보여준다. 한자의 기원을 연구하는 학자들은 이 점을 근거로 하여 한자가 동이족이 만든 문자라고 말한다. 

 

그러면 어떻게 해서 한자의 주인이 중국의 한족인 것으로 왜곡이 되었을까? 여기에는 공자의 역사왜곡이 관련되어 있다. 공자와 역사왜곡이라? 믿어지지 않는 말이다. 하지만 김진명씨가 다음의 스토리펀딩에 올린 '대한민국의 7대불가사의 5화'를 참조해 보라. 전혀 근거가 없는 이야기라고만 치부할 수는 없음을 느끼게 된다.

☞ https://storyfunding.daum.net/episode/3475 

 

<글자전쟁>은 한자의 주인이라는 타이틀을 차지하기 위한 전쟁, 즉 중국의 한족과 동이족과의 싸움, 아니 싸움이라기 보다는 일방적인 한족의 한자 찬탈 행위를 적나라하게 드러내고 있다. 고구려 영토내에 한 마을이 풍지박산이 난다. 모든 마을 주민이 처참하게 살해당한 것이다. 이 사건을 조사하게 된 행정관은 이 문제가 동이족과 관련이 있음을 알게된다. 그리고 더 나아가 이 사건은 '글자전쟁'의 일환이었음을 밝히게 된다. 한족이 만든 자만을 남겨두고, 동이족이 사용하던 弔자를 없애버리고 치졸한 한족의 의도였음을 밝힌 것이다. 이것은 전쟁이었다. 글자를 둘러싼 전쟁!

 

은허에서 발굴된 갑골문을 조사해 보면 이미 은나라시대에 5000여자의 한자가 사용되고 있었다고 한다. 물론 한자를 받아들인 한족이 그 이후 수많은 한자를 만들었다는 것을 부인할 수는 없지만, 모든 한자가 한족의 작품이라고 주장하는 것은 온당치 않은 일이다. 실제 논답畓, 집가家와 같은 글자는 한족은 모르는 글자이다. 한족이 만든 글자가 아닌 것이다. 한족은 한자의 주인이라는 타이틀을 유지하기 위해 얼마나 많은 전쟁을 치루어 왔을 것인지 가히 짐작할 수 있겠다.  

 

한자의 주인이 한족이 아닌 한민족이라는 김진명씨의 주장이 사실이라면, 도대체 한국의 역사학계는 무엇을 하고 있었던 것일까? 역사학자들은 받아쓰기만 한 것이었던가? 만일 그런 부끄러움이 있다면, 이제는 그러한 관행을 중지하고 새로운 숙제를 받아들여야 할 것이다. 김진명씨는 대한민국의 역사학계에 심각한 숙제를 던져 준 셈이다. 비전문가의 주장이라고 일축하기 전에 깊이 연구하여 진상을 밝힐 무거운 책임이 역사학계에 주어진 것이다. 회피하지 말기를...  

 

  

 

 

 

'읽은 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반언어학강의 발췌문  (0) 2016.02.04
꽃이 되어 새가 되어  (0) 2016.01.19
성채  (0) 2016.01.07
예감은 틀리지 않는다  (0) 2016.01.04
파도가 바다의 일이라면...  (0) 2015.12.2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