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광수 지음 2012 8 14

 

역사소설에 관심이 생긴다. 역사 공부도 되고, 뭐 혹자의 말에 따르면 사실적 역사와 허구적 역사가 헷갈리기도 한다던데, 그렇기도 하겠다마는 역사의 흐름을 조망해 볼 수 있는 기회가 되며, 새로운 시각으로 역사를 바라볼 수 있는 시간이 되기도 하니, 그리 나쁘지는 않는 것 같다.

 

이 소설은 철저히 단종의 편에서 쓰여져 다소 편향된 시각을 드러내 보인다. 왕위를 찬탈한 세조와 그의 공신인 정인지, 신숙주, 한명회, 권람등은 악당으로 그려지고 있다. 특히 정인지와 신숙주는 집현전의 학자출신으로 널리 알려진 인물인데, 이들의 사리사욕와 권력욕등이 부각되어 코드가 좀 맞지 않았다. 하지만 성삼문, 박팽년, 하위지, 이개등 사육신의 의리와 기개는 대단하다고 생각된다.

 

중립적인 시각을 유지하기 위해선 세조의 입장에서 쓰여진 책을 읽을 필요도 있겠지. 진정 정인지, 신숙주등의 인물들이 온전히 사리사욕을 채우기 위해 단종을 배신하는 파렴치한 행동을 한 것인가 아니면 그에 대한 명분이 있는건가?  특히 한명회는 파렴치의 극한을 달리는 인물로 제시되고 있는바, 정말 그러한가? 왕권을 강화하고 왕실을 지켜야 한다는 명분은 하릴없는 일인걸까? 특히 의로움은 무엇을 기준으로 판단하는 걸까? 단종의 입장에 있는 사람들의 의와 세조의 입장에 있는 사람들이 생각한 의...이 둘 사이에는 넘을 수 없는 큰 간격이 존재하리라. 인생이 다 그렇다. 코에 걸면 코걸이, 귀에 걸면 귀거리. 우리가 받아들일 만한 절대적인 의의 표준은 무엇이어야 할까?

 

보통 사람들은 옛날이 좋았다고 이야기하곤한다. 하지만 옛날의 삶은 살기에 더욱 끔찍한 삶이 아니었겠는가 하는 생각이 든다. 이 소설에 나오는 끔찍한 이야기가 완전 사실과 부합되는 것은 아니건만 어느 정도의 사실성은 포함하고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문명화된 우리네 세상과는 달리, 사실 우리네 문명사회도 그리 별반 다르지는 않겠지만, 권력을 위해 무고한 수많은 사람들이 희생되는 사회구조는 정말 끔찍하다. 법치를 표방하고 있으나, 법보다는 사리사욕이 앞서는 행태는 생각하기조차 싫다. 살이 튀고 피가 튀는 형문장은 너무 야만적이다. 과연 우리 선조들은 이러했을까? 우리 선조만이 아니라 모든 인간역사에 권력을 쥐기 위한 투쟁과 그 투쟁을 넘어선 끔찍한 만행들이 존재해 왔었다. 이러한 것은 인류의 숙명인가?

 

수많은 의로운 선비들은 의연히 죽음을 받아들였다. 하지만 씨를 말리는 행태는 어떠한가? 형벌을 당할 당사자만이 아니라 삼대를 멸족시키는 엄청난 야만, 노인에서부터 어린이에 이르기까지 남자는 다 죽이는 형벌. 충신의 씨는 말라버리는 상황, 그러면 당시의 인물들이었던 성삼문, 박팽년, 하위지, 이개등의 후손은 이제 존재하지 않는단 말인가? 충성의 대가가 너무 참혹하기도 하다. 시간이 흐를 수록 의인의 피줄은 사라지고 남은 것은 생존에 모든 것을 거는 하찮은 핏줄들만이 남는 걸까? 우리네 세상에 의인의 피는 희귀한 것일까?

 

권력에 있다가 그것을 잃어버린 자의 비참한 말로는 두가지 생각을 가능케한다. 첫째, 권력을 잃지 않아야 한다. 둘째, 권력을 애초에 멀리해야 한다. 오늘을 살아감에 있어서도 권력을 잃은자의 슬픈 말로는 분명하다. 얼마전에 있었던 노전대통령의 죽음, 복합적인 요소들이 있겠지만 가장 체감이 와 닿는 것은 권력의 상실이다. 단종의 죽음과 그 맥이 닿는 듯도 하다. 권력에 욕심을 갖지 않는 것이 좋은 길이겠지마는 이것도 쉬운 일은 아니리라.

 

만일 내가 그 시대에 살고 있었다면 어떻게 처신했을까?  ... ???

'읽은 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야기 한국사  (0) 2012.09.01
흑산  (0) 2012.08.18
7년의 밤  (0) 2012.08.08
다산  (0) 2012.08.04
인문학 공부법  (0) 2012.08.0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