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리학과 실학을 겸비한 실천적 지성 율곡 이이  황의동 씀  2012 9 10 읽음

 

조선시대를 대표하는 학자 율곡과 그를 길러낸 신사임당

하지만 정작 율곡에 대해 하는 것은 십만양병설과 퇴계와 쌍벽을 이룬다는 말을 들은 것일 뿐.

 

율곡은 성리학자이다. 성리학은 공자,맹자로 부터 시작된 유학의 한 줄기로서 인간본성에 대한 이치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그리고 더 나아가 자연의 본성에 대해서도 연구하게 된다. 성리학은 주자학 또는 정주학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공자와 맹자로 시작된 유학은 여러모로 발전해 나가다, 진나라의 분서갱유사건으로 대부분의 경전이 소실되고 만다. 이후 불교가 도교등이 학문의 주류가 되었으나 훗날 유학에 대한 학문이 다시 시작되는 바, 소실된 경전등을 찾아내고 복원하는 일이 우선시 되었다. 이 과정에서 훈고학이라는 유학의 한 분야가 등장하게 되는데 이는 고증학의 성격이 강하였다. 이후 유학은 불교가 도교등 다른 철학사상과의 교류등을 통해 하나의 철학사상으로 발전하게 되고 이론적으로 정교해 진다. 이러한 흐름에 주된 영향을 미친 유학자는 주자이다. 그로 부터 확립된 유학을 주자학 또는 성리학이라 한다.  

 

성리학자로서 율곡의 사상은 무엇인가? 먼저 성리학자인 율곡의 사상을 알기위해서는 그 사상의 기본인 성리학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그리고 성리학을 이해하려면 이기론을 알아야 한다. 성리학에서는 모든 존재가 형이상자인 이와 형이하자인 기로 이루어져 있다고 말한다. 간단히 말하자면 자연의 기본 이치나 원리는 이, 그 원리에 의해 발현되는 현상,상태등을 기라고 하며, 성리학에서는 모든 존재나 현상등이 이러한 이와 기에 의해 설명된다. 심지어 보이지 않는 비물질적인 세계도 하나의 존재로 리와 기로 이루어져 있다고 본다. 당시의 퇴계를 중심으로 한 주리론(근본이치인 이가 기에 우선한다는 이론)과 화담 서경덕을 중심으로 한 자연철학을 다루는 주기론(자연현상으로 나타나는 기의 흐름이나 발현에 초점을 두고 자연을 탐구하는 이론) 이 두가지 철학의 흐름이 있었는데, 사실 퇴계를 중심으로 한 주리론이 대세를 이루고 있었다. 하지만 율곡은 이 리와 기의 관계에 대해 당대의 위대한 학자인 퇴계의 논리와는 다른 독자적인 논리를 전개했었다. 율곡은 이 두 흐름을 조화시키는 입장을 취했다. 이것이 이기지묘, 기발이승, 이통기국등의 철학으로 표현되었다. 그의 저서 성학집요, 답성호원서(친구인 성호원의 질문에 대한 답),천도책(과거시험에 제출했던 답안지)등은 그의 철학사상을 잘 알려주고 있다.

 

그의 사상과 실학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성리학은 유학경전을 근거로 이를 논리적으로 해명하고 철학적으로 심화했다는 데 의미가 깊다. 하지마 지나치게 사변화되고 관념화되는 병폐를 안게된다. 유학은 본래 이론과 실천을 겸비하고 수기와 치인을 겸하는 것인데, 성리학은 실천보다는 이론, 치인보다는 개인적 수기에 치중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율곡은 유학의 원래 정신으로 돌아가 성리의 이론과 실천이 하나로 돌아가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수기에서 나아가 나라와 민생에 대한 책임과 도리를 다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이로 현실에 대한 강렬한 비판의식을 통해 현실개혁의 기치를 들게 된다. 율곡은 정치,경제, 사회, 국방,행저,교육 등 현실문제, 민생문제, 부국강병에 관심을 갖게 되고 개혁을 위한 실질적인 대안등을 제시하게 된다. 그의 십만양병설은 조정대신등의 반대에 부딪혀 실현되지 못했으나 바로 이러한 흐름에서 나온 것이다. 십만양병설을 반대했던 유성룡도 임진왜란이 터지자 그의 혜안에 감탄해 마지 않았다한다. 또한 임금에게 올리는 상소문인 만언봉사를 통해 그는 정확한 현실진단과 개혁방안들을 조목조족 제시하고 있다. 또한 어린이 교육용으로 저술한 그의 저서 격몽요결등은 교육에 대한 그의 견해를 들려준다. 또한 그의 저술 동호문답등도 이러한 현실적인 문제에 대한 그의 논리가 피력되어 있다. 이리하여 그는 조선 중기의 이론적인 성리학과 조선후기의 실학을 연결하는 역할을 맡게 된다. 그리고 그의 실학정신은 다산 정약용에 의해 꽃 피게 된다.  

 

49세라는 짧은 삶을 살았던 육체적으로는 병약하였으나, 정신적인 거인이었던 그의 율곡 철학을 정리하자면 조화정신, 개혁정신, 실학정신, 이 세가지로 요약할 수 있겠다.  

 

짧은 책이지만 율곡의 삶과 사상, 그리고 성리학에 대한 대략적인 윤곽을 잡을 수 있어 나름의 득이 있었다 하겠다. 다음엔 퇴계 이황에 대한 책을 읽어 보고 싶다.

'읽은 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도세자의 고백  (0) 2012.09.17
역사란 무엇인가?  (0) 2012.09.14
내 심장을 쏴라  (0) 2012.09.07
설국  (0) 2012.09.05
세상을 바꾼 열 가지 과학혁명  (0) 2012.09.03

+ Recent posts